학원 상가 화장실 환경이 아동의 구강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치위생학과 재학생 4명이 ‘방과 후 만 12세 아동의 칫솔질 실천에 영향을 주는 환경 탐색’을 위해 학원 상가 내 화장실 15곳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시설이 기본적인 위생관리가 되어 있지 않아 아동의 칫솔질뿐만 아니라 손 씻기와 같은 위생 행동을 하기 어려운 상태로 나타났다.
청결한 공중화장실 환경의 필요성
질병관리청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2022)에 따르면, 만 12세 아동의 시기별 칫솔질 빈도는 아침 식사 후와 잠자기 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50% 미만으로 매우 낮다. 또한, 초등학생 자녀가 방과 후 주로 시간 보내는 곳은 학원이 75.2%로 가장 높았다(여성가족부, 2023).
이는 아침 식사와 잠자기 전을 제외한 아동이 외출한 시간 동안 만 12세 아동이 칫솔질을 잘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간식 섭취 후 칫솔질 실천율이 가장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이 방과 후 주로 시간을 보내는 곳인 학원에서 간식 섭취 후 칫솔질할 수 있는 외부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너무나도 열악했던 화장실의 상태
환경탐색 결과, 학원이 있는 상가 화장실의 문제점으로 △온수 안 나옴 △휴지 부족 △물 빠짐 이상 △세면대 오염 △어두운 조명 △악취 △녹물이 발견됐다.
조사한 강원도 OO시 학원 상가 내 화장실 15곳 중 6곳에서는 온수가 아예 나오지 않거나 찬물만 제공됐고, 8곳은 휴지가 없었다. 물 빠짐이 좋지 않은 화장실은 4곳이었고, 양치를 못 할 정도로 세면대가 오염된 화장실은 3곳이었다. 조명이 매우 어둡거나 악취가 나는 화장실은 각각 4곳이었으며, 녹물이 나오는 화장실도 존재했다.
아동이 이용하는 화장실에 구강건강 생활수칙 포스터가 없다?
건강 생활수칙 포스터가 부착된 화장실은 15곳 중 3곳뿐이었으며, 모두 손 씻기 행동을 다루는 포스터였다. 반면, 칫솔질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구강건강 생활수칙 포스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손 씻기 포스터가 부착된 화장실에서 손 씻기 실천율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위생 행동의 지속성 또한 높아졌다고 보고되었다(정승교, 2018). 같은 맥락에서 칫솔질을 장려하는 포스터 역시 아동의 건강한 칫솔질 습관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칫솔질을 장려하는 포스터가 화장실 환경의 일부로 자리 잡도록 하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화장실 관리 문화에 위생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건강 생활수칙 포스터까지 포함되어 건강한 공간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는 환경이 아동들에게 마련되길 기대한다.
우리가 아동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학원 상가 화장실 환경 개선은 아동의 구강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과제다. 아동의 구강건강을 위한 칫솔질을 실천할 수 있는 화장실 환경의 문제가 발견될 경우, 한국화장실문화협회 홈페이지(http://www.restroom.or.kr/)에 기재되어 있는 전화나 메일을 통해 화장실 환경 개선을 건의할 수 있다.
한국화장실문화협회에 신고된 화장실은 행정안전부와 서울시 등 즉시 각 지자체로 통보가 되며, 각 지자체에서는 관련 지자체 기관장에게 통보된다. 이후 1개월 이내에 시민연대에서 개선 전과 후의 사진과 함께 처리 결과를 회신받을 수 있다(한국화장실문화협회 사이트 신고 창구).
아동들이 건강한 구강 관리 습관을 형성하고 이를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학교뿐만 아니라 학원 상가 화장실에서도 단순 편의시설을 넘어 건강과 위생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도록 학부모와 학원 관계자들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 질병관리청,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2022, 2024.10.10, 칫솔질 1일 횟수 및 시기 만 12세 - 성별, 행정 구역별, 지역별
2.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2023, 2024.12.04, 초등학생 자녀 방과 후 주로 시간 보내는 곳
3. 보건복지부(2017.12), 「[국민 구강건강 길라잡이] 건강한 삶을 위한 구강건강 생활수칙 포스터」,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300&bid=0019&act=view&list_no=343515
4. 정승교. (2018). 성인의 손 씻기 실태 및 손 씻기 포스터의 효과. 문화기술의 융합, 4(3), 269-274.